페이지

이 블로그 검색

2015년 1월 6일 화요일

집권가능성이 없기로는 제1야당이나 지지율 1%의 노동당이나 별반 차이가 없다. 
대중을 상대로 한 전국적 규모의 선거에서 성과(당선/우리당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일)를 거두는 것은 중요하지만.
소위 기울어진 운동장이라 표현하는 언론환경을 포함한 정치 생태계 
현재 정치에 대한 대중의 외면/혐오 
우리당에 대한 당원들의 관심저하
진보적 가치지향의 대중에게 노동당이란. 

고마운 존재. 안쓰럽다. 시지프스의 신화. 
시민운동을 하는 정당. 그렇다면 그런 시민운동과 다른 노동당이 해야할 정치란 무얼까? 

자신들이 혐오하는 가치를 두고 경쟁하는 자들이 곱게 보일까? 게다가 그 경쟁에서 승리할 가능성도 없거나 낮은 상황에서 총력을 다하는 자들을 제정신이라고 봐줄까? 

정치, 선거, 진보 이런 개념들이 제각기 이데올로기적 편향성이 아닌, 정치에 대한 태도에 따라 다르게 개념화되었다. 개념적 다양성은 오늘의 얘기만은 아닐 것이다. 정치, 선거, 진보 이런게 개념적으로 정립되기 이전부터 소수의 개념적 다양성은 있었을텐데 그걸 외면해온 것일뿐. 

지금의 노동당에 모여있는 사람들이 그간 어떤 선택을 해왔는지 회고해보자. 
민주노동당에서 노심이 나와서 진보신당이 됐고, 
노심이 다시 통진당에 들어가 당명을 잃었고, 
노심이 통진당에서 나와 정의당을 만들고, 통진당이 해산되니까 진보재편의 소용돌이, 그것도 지지율 10%대의 그라운드 내에서 부는 미풍에 휘둘려. 
스스로의 운명을 스스로 선택하지 못하는 정당이 어떻게 대중의 삶을 

이효리. 명망가 정치운동 

2014년 11월 9일 일요일

테크놀로지와 정치. 민주주의 관계 
정치인 개인의 SNS 활용. 과거 웹 이용 포함
긍정적 측면 
부정적 측면
과제. 

 
정당도 테크놀로지 도입. 모바일 정당 논의(지난주 다뤘었다) 
최장집. 김형준. 발언들. 
모바일정당을 받아들이는가 여부. 테크놀로지 도입이 문제가 아니라. 
멤버십을 어디까지 인정할 것인가. 

2002년 대선. 2012년 대선. 
오픈 프라이머리 논의. 
현실적인 고민. 10만 당원 100만 지지자. 
선거에서의 승리를 위해서라면 10만 당원 X 
안정적으로 1천만이 유지되는 선거환경. 
일상적으로 이들에게 멤버십을 부여하고 정당의 외연 확대. 내면화 하는 것. 

학계에서는 코웃음. 왜? 

현대 정당을 보는 시각 
이제 정당의 배타적인 이해관계를 조직해 차별적인 정치자원을 공급하는 기관이 아니다. 
관람민주주의 
후원회 모금기금. 미국 민주주의. 

정당의 잃어버린 기능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 해결 없이 정당의 선거에서 승리하기만을 바라는
인기투표. 정당지지도. 

외곽세력 끌어들이는 노력의 실패 어떤 관계를 형성할 것인가. 
1. 2. 3. 

2014년 10월 1일 수요일

새누리(의원들)의 착각?

이기고 있더라도 한방에 날아갈 수 있다(바람 공포) 
지역유지나 바닥민심은 보수적이다. 바람에 흔들리지 않는다. 
중앙정치는 내 몫이 아니다.(지역이나 신경 쓰자) 
돈 없으면 정치할 생각 말아야 한다. 
내가 잘해서(잘나서) 지지율이 높다. 
국민은 무지몽매한 계몽의 대상이다. 

......라고 생각한다



새정치(의원들)의 착각? 
새누리당 지지율이 40%이므로 60%는 우리 편이다. 
평상시에 잘해봤자 소용없고, 선거 때 잘하면 된다. 
숨어있는 10%의 야당표(우리표)가 있다. 
공천만 받으면, 무소속만 안나오면, 단일화만 하면 이긴다. 
지도부 흔들면 지가 지도부 될 수 있다. 



......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