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이 블로그 검색

2011년 4월 18일 월요일

농협 사태, 일주일 경과

지진으로 시작해 쓰나미, 원전 사태로 이어진 일본의 대참사를 보는듯, 농협사태가 진정될 기미를 못보이고 지속되고 있다.  
이런 류의 사태들이 갖는 공통점은, 최초에 문제가 발생한 때에 위기상황이 부분적으로 파악되고, 보고체계의 상위단계로 올라갈수록 최소화되어, 해결책이 섣부르게 제시되는 습성을 가진다는 것이다.  
농협 내부의 위기파악이 아닌, 외부의 얘기를 들어보자니, 현재 농협 사태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보안업무의 하청 운영과 보안예산 삭감이 지적되고 있다. 
이게 왜 문제가 될까? 


먼저, 생각해볼 것은 기업들은 어떤 이유로 특정 업무를 자체 고용보다 하청에 의존하는가이다. 


첫째, '보안' 업무와 같이 전문성을 요하는 특수업무인 경우, 
둘째, 설비시스템에 과도한 투자가 필요해 하청이 가진 시스템을 임대해야 하는 경우, 
셋째, 고용비용보다 적은 예산으로 업무를 수행하도록 재정적으로 강제되어진 경우, 
넷째는, 노조의 일원들이 이 중대한 업무를 노조 협상력을 키우는데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경우,  


또 뭐가 있을까? 
결정권자의 친인척이나 전직 임원이 해당분야 업무를 담당하는 업체를 설립한 경우도 생각해볼 수 있겠군.


어쨌든, 지난해부터 농협을 둘러싸고 발생한 시끌벅적한 문제들의 연장선상에 이 사태가 놓여 있음에는 틀림이 없어보인다.  
농협은 지난해 농협법 개정안을 통해 신용사업과 유통사업을 분리하려 했다. 
그리고, 올해 4월 이 개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됨으로써 그 뜻을 이뤘다. 
이번 사태와 연관지어 생각해 보자면, 보안업무를 금융업을 경영하기 위한 부차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이윤 극대화를 위해 보안 전문성을 저가의 하청에 의존하는 기업이 금융업을 전문으로 하는 지주회사를 만들겠다고 뛰어든 것이다.


그들은 FTA, 구제역, AI 등 우리나라 농가들이 장기적이고 반복적으로 당면한 문제들에 최근 몇년간 아무 대처도 하지 않았다. 
애초에 제 것이든, 남의 것이든 위기인식과 대응에는 감각이 둔한 조직이다. 


반면, 농협법 개정을 위해 정치권을 상대로 조합원들의 임금을 떼어다가 상납했다. 
농협의 이미지 개선을 위한다는 명목으로나, 농협법 개정을 이끌기 위한다는 실제로나 조합원들의 주머니를 터는 행위를 노조가 반길리 없다.


오늘부터 직원들을 상대로 조사가 시작된다. 내부자 소행쪽으로 사태의 본질이 급선회하려나? 
이 사태 이후 뒤따를 기존 고객들의 엑소더스를 농협이 어떻게 최소화할까? 
새로 탄생할 농협금융지주는 신규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어떤 희생들을 감수할까? 
혹은, 탄생도 못시킨채 사산의 수순을 밟게 되려나?


그보다, 앞으로 농협은 과연 하청에게 보안업무를 맡길 수 있을까?
혹은, 자기 직원에게는 맡길 수 있을까? 그렇다면, 외국계 보안업체를 선택하게 될까?


(정말, 농협만큼이나 글이 두서없다.. 후훗)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