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이 블로그 검색

2011년 7월 27일 수요일

Prime number

퇴근길에 차량넘버 7207이 문득 눈에 띄기에, 
과거에 다니던 회사 전화번호가 떠올라 "7207 7208 ..." 이라고 트윗에 읇조렸다
아마 그저께쯤 일이었나?

오늘 아침 트윗 멘션에 이런 멘션이 있는게 아닌가..

"7207 is the 920th prime number. RT @thehyan: 7207 7208 ..."

멘션한 이를 보니, PNbot 이란다. 아래는 프로필..
---------------------------------------------
Prime Number Bot
@PNbot view full profile →
JAPAN
Prime number counter. Reply with primality test.
http://www.google.com/crisisresponse/japanquake2011.html
---------------------------------------------------------

우리말로 '소수'(素數)라고 하는 Prime number는, 
1보다 큰 자연수로서 1과 그 수 자체 외의 약수를 가지지 않는 수.
예를 들면 2, 3, 5, 7, 11 등을 일컫는다.
(소수에 관한 더 흥미로운 설명은 http://www.scienceall.com/dictionary/dictionary.sca?todo=scienceTermsView&classid=&articleid=252588&bbsid=619&popissue= 링크 참조)

7207 만큼 큰 수까지는 아니더라도, 나는 37을 유독 사랑하고, 
17과 31 을 사랑하고, 그 외의 모든 소수들을 또한 사랑한다.

소수들에는 말로 형언할 수 없이, 도도한 매력이 있다.

블랙수트치마와 흰색 블라우스를 차려입은 커리어우먼을 연상시키기도 하고,
침대 발치에 몸을 웅크린, 자폐증상을 앓는 눈이 큰 소년을 연상시키기도 한다.
때로는 앙칼진 교성을 내뱉는 고양이의 수염이 떠오를 때도 있고,
파카글라스에 담긴 얼음 띄운 드라이진이 떠올라 입맛을 다실 때도 있다.

영화 <박사가 사랑한 수식>을 감명깊게 기억하는 이유도, 
야구 이야기가 소재에 포함된 때문이기도 하지만, 소수를 빼놓고는 설명이 되지 않는다.

유독 수학에 취약했음에도 소수에 대한 이런 사랑은
중학생 시절 담임선생님이자 수학선생님이셨던
이창대 선생님께서 처음 이 소수의 존재를 알려주셨던 그 수업시간,
짙은 녹색칠판과 칠판지우개의 줄무늬 홈을 따라 남겨진 하얀 분필가루 자욱

이창대 선생님과 내가 함께 사랑한, 물리학을 전공했다던 김종애 과학선생님과 
그녀의 얇상한 회초리
과학캠프 마지막날 아침 식사로 나온 카레라이스를 젓가락으로 깨작깨작 먹던 
그녀의 하얀 손가락과 얇실한 입술의 움직임까지를 단박에 떠오르게 한다. 

Prime Number Bot 이 우연스럽게 불러일으킨 소수에 대한 추억과 
그 수들의 영속적인 배열을 닮은 영원성의 가치가 
2011년 여름, 매서운 빗줄기에 상처 입은 도시의 아픔을 잠시 잊고 
13세 소년 시절의 기억을 되새겨준다. 

댓글 1개:

  1. 내가.. 할일이 없는건 아닌데...
    블로그가 있는지 몰랐네...^^
    글이라는 건 참 신기하지?
    글들을 쭉 보면서 내가 알지 못했던 박상호라는 사람의 다른 면을 보게된 것 같다.
    그동안 너무 연락을 안하고 살아서 그랬던거 일수도 있고..
    '박사가 사랑한 수식'이라는 영화는 한번봐야겠어.
    좋은 영화를 알아가네.. 땡큐~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