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이 블로그 검색

2010년 6월 4일 금요일

여론조사, 이제 답을 내야

 

 

 


전화면접 방식의 샘플 여론조사가 한계에 도달했다.
아니, 더 정확히 표현하자면 한계에 도달한지는 오래됐고, 이제 이를 모두에게 들켜버렸다.

 

"숨어 있는 야당표가 7~10% 있다"
"정확도는 떨어졌지만 추이는 발견됐다"

 

무책임한 소리다.

과학적 사회조사 방법에 근거한 여론조사가 조사를 통해 확인되지 않은 과거의 사례나 경향성에 의존해 스스로 조사의 신뢰성을 부정하는 변명을 하고 있는 것이다.

 

원점에서 다시 생각해볼 거리들이 있다. 좋은 예가 정당지지도이다.
실사에서는 정당 지지도('어떤 정당을 지지하세요?')를 물었을 때 응답자가 답을 하는 비율이 상당히 낮다. 부동층이 50%를 훨씬 상회한다.
이렇게 되면 분석이 힘들다. 교차분석을 위한 변수로 정당지지도의 활용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정당 지지도에서 부동층을 제거하기 위해 재차 선택을 요구한다.('조금이라도 관심있는 정당은?')
그리고, 이렇게 얻은 1차 응답과 2차 응답은 별다른 가중치 적용없이 단순 합산된다.
실제로는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지지자가 20:10인데, 재질문을 통해 40:20이 되고마는 것이다.

 

여론조사 기관들은 잃어버린 신뢰를 되찾기 위한 자기 성찰을 해야한다.
우선적으로는 조사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스스로 조사결과를 신뢰하는 습성을 가질 필요가 있겠다.

이러한 원칙에 입각해 다양한 방법들을 연구하고 시도해야 한다.
재질문 응답보다 본래의 응답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고, 지지도를 물을 때 지지강도를 부연하도록 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
다.


대통령 지지율이 왜이렇게 높은지, 그런데 왜 실제 선거에서 국정심판 여론이 가혹했는지?
그 답은 저 재질문 방식과 여론조사 의뢰자의 지갑 속에 숨어있다.

청와대로부터 의뢰받은 국정지지도 조사에서 부동층이 50%를 넘는다면, 조사 담당자들은 이를 잘못된 조사라 한다. 조금 완화하면 성의없는 조사가 되고 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여당이 여론조사 기관, 이들의 조사결과를 떠벌린 언론, 그리고 포탈 등 권력의 눈치를 보고 자발적으로 충성경쟁을 벌인 자들에 의해 농락당했다는 것은 자명하고 통쾌한 일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